• 커뮤니티
  • 새소식
새소식

뉴스 | 김동언 명예교수, 정부포상 "옥조근정훈장" 수상

페이지 정보

2024.03.20 / 1,987

본문

김동언 명예교수, 정부포상 :옥조근정훈장" 수상


53f8b3d8241c228fc487dcd992961803_1710926116_9511.PNG 

*옥조근정훈장 : 공무원으로서 그 맡은 바 직무에 정려(精勵)하여 공적이 뚜렷한 자에게 수여하는 훈장.

 


1991년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로 부임한 이후 줄곧 새로운 극고속 광원 개발관련 기술 연구이를 활용한 동역학 연구를 지난 33년간 수행해왔다.
 
물리학 분야 SCI 우수 학술지(Light:Science and Applications, Nat. Phys. Nat. Comm. PRAX )에 2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독일 막스 플랑크 협회와 공동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1 Max Planck Korea / POSTECH Res.Init(MPK) Max Planck Center for Attosecond Science (MPC-AS) 설립하였으며국내 및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초로 단일 아토초 펄스를 구현하고극고속 동역학 연구에 활용함으로써극고속 과학 분야 증진에 크게 기여하였다나노 분해능 생체 현미경용 물의 창 영역 (2.8 - 4.3nm) 광원 개발 및 세포 나노급 이미징 구현으로 2007년 대한민국 발명 특허 대전 대상(대통령 표창)을 수상하였다이러한 활동을 통해 극고속 광기술 개발 분야극고속 광과학 기초 및 응용 연구 분야새로운 극고속 광원 개발 분야 등에서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국내 극고속 동역학 분야의 위상을 제고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교육 분야에서는 실험 시연 일반 물리 강의 시설 구축시연 강의 프로그램 개발최첨단 펨토초 레이저 관련 강의 개발 및 과학 기술 분야 학생의 인문학적 소양 함양 등에서 김 동언 교수의 기여를 높이 평가할 수 있다이러한 연구 및 교육 과정을 통해 박사 22석사 22명을 배출하였다.

김동언 명예교수(물리학과)
부임 : 1991 8 8
박사 : Princeton University l Plasma / optics [1989.1]
석사 : Princeton University l Plasma / optics [1984.6]
학사 : 서울대학교 l 물리학과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새소식
Total : 749
게시물 검색
새소식 목록
2025-04-03 [동아사이언스] “핵융합 조기 상용화하는 데 KSTAR 성능 한계 있다” (첨단/물리 윤건수 교수)
2025-04-03 [수상] 이채린 학생(통합1년차, 지도교수 손민주) 미국 「생물물리학회 연례 학술대회」 학부 포스터 대회 우승
2025-03-28 [뉴시스] 포항시, AI시대 미래 성장 동력 발굴 위해 전문가 의견 청취 (박재훈 막스플랑크 포스텍연구소장, 나노융합기술원 신훈규 연구교수)
2025-03-07 [비즈니스포스트] 이재석 카페24 대표이사 (물리 이재석 동문)
2025-03-05 [수상] 구연정 대학원생,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동상
2025-02-11 [동아사이언스] “양자과학기술, 실용성에만 투자 안타까워…본질 탐구 선행돼야” (물리 홍정기 명예교수)
2025-01-27 [노벨상에 도전하는 과학자] 윤건수 교수 “규모 크지 않더라도 꾸준한 지원과 사람 육성 중요” 관련링크
2025-01-21 [전자신문외5건] 음식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청정수소 생산 돕는다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 기계 진현규 교수·통합과정 이동규, 첨단원자력 박사과정 유재민)
2025-01-08 [전자신문외4건] ‘이중층 그래핀’ 비국소 저항 원인 규명 (물리/융합 이길호 교수, 물리 통합과정 정현우)
2025-01-03 [머니투데이] “스타트업과 M&A 분야 대표 로펌으로”…디엘지, 투톱 체제 구축 (안희철 물리 동문/산경 겸직교수)
2025-01-02 [이코노미사이언스외5건] 래핀과 초전도체 만남…전극 접합 획기적 개선 (물리/융합 이길호 교수, 물리 장성 박사후연구원)
2024-12-17 [이뉴스투데이외5건] 한양대 정문석-포스텍 박경덕 교수 공동 연구팀, 다크 엑시톤 발광 구현 성공…광전자 공학 혁명
2024-12-17 [지디넷코리아] “핵융합 사업 단절 없애려면 생태계 구축 선행돼야” (첨단원자력/물리 윤건수 교수)
2024-12-06 [수상] 김희철 교수, 「2024년 에쓰-오일 차세대과학자상」
2024-12-06 [수상] 물리학과 조대근 박사(지도교수 이현우), 「2024년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
top_btn